우울증(Depression 憂鬱症)이란?
우울증, 즉 우울장애는 의욕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ㆍ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합니다.
01. 원인
우울증의 분명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른 정신 질환과 같이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생화학적 요인
- 감정과 연관된 뇌의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신경전달 물질의 작용.호르몬의 불균형
- 유전적 요인
- 가족 중 우울증이 있는 경우
- 환경적 요인
-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 경제적 문제, 사회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강한 스트레스
02. 증상
초기에는 정서적 공감이 없어지고 기분이 좋지 않으며 현실감이 소실되어 자신이 왠지 다른 사람처럼 느껴집니다.
우울증이 진행되면 슬픈 감정이 점차 표정과 태도에서 뚜렷이 나타납니다. 무표정하거나, 힘든 표정을 짓고, 희망이 없게 느껴지고, 침체되어 늘 하던 일도 매우 어렵게 느껴지고, 자신이 없어집니다.
더 심해지면 열등의식, 절망감, 허무감이 생기고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자살의욕과 시도가 생깁니다.
- 사고의 흐름이 느려져 말이 느리고 대답이 간단하며 작은 목소리로 말합니다.
- 기억력이 감퇴되고 판단력이 떨어진 것처럼 느껴집니다.
- 건강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절망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건강염려증적 경향, 신체망상, 허무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살과 죽음을 끊임없이 생각하기도 합니다.
- 의욕이 없고 행동이 느려지는데 심해지면 일어나는 일조차 어렵게 느껴집니다
- 불안장애, 알코올의존, 물질남용 등이 동반되기 쉽습니다.
- 자살은 무력감, 분노, 죄책감, 망상 등에 의해 유발되는데, 우울증이 심한 시기보다 회복기에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 갱년기와 노년기의 우울증에서는 우울감정과 함께 지속적인 불안과 초조가 동반될 수 있는데, 이를‘초조성 우울’이라 합니다.
- 가장 흔한 신체증상은 수면장애로, 한번 깨어 다시 잠들기가 어려운 후기불면이 흔히 나타납니다. 또한 체중저하, 식욕부진, 성욕감퇴, 변비, 소화불량, 두중감, 피로감 같은 증상도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처럼 신체증상을 주소로 하는 우울증의 경우는 신체증상으로 위장된‘가면성 우울증’ 이라고 합니다.
우울증의 진단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다음의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동일한 2주일 동안에 나타났고, 예전과 기능 차이를 나타낸다 : 적어도 하나의 증상이 '우울한 기분' 또는 '흥미 또는 즐거움의 상실'이다.
- ① 거의 하루 종일 우울증을 보임: 주관적 설명 (예: 슬프거나 공허함)이나 타인에 의한 관찰(예: 눈물을 글썽임)에 의해 거의 매일마다 하루 종일 우울한 기분이 보임
- ② 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한 관찰로 거의 매일마다 하루 대부분의 활동에서 흥미가 현저하게 감소됨이 나타남
- ③ 식이 조절을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체중 감소 또는 증가가 나타남 (예: 1개월에 체중의 5% 이상 변화) 또는 거의 매일 식욕의 감소 또는 증가가 보임
- ④ 거의 매일 불면 또는 과수면
- ⑤ 거의 매일 정신운동 흥분 또는 지체 (단순히 안절부절 못하거나 느려진다는 주관적 느낌뿐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이 가능함)
- ⑥ 거의 매일 피로 또는 에너지 상실
- ⑦ 거의 매일 단순한 자기 비난이나 아픈데 대한 죄책이 아닌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고 부적절한 죄책이 보임 (망상적일 수도 있음)
- ⑧ 거의 매일 사고와 집중력의 감소, 결정 곤란을 보임 (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해 관찰됨)
- ⑨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죽음에 대한 공포가 아님), 구체적 계획이 없는 반복적인 자살 사고 또는 시도나 자살을 자행하려는 구체적 계획
02. 증상은 혼재성 삽화(조울증에서 조증과 우울증이 공존하는 경우)의 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03. 증상은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고통을 일으키거나 사회적, 직업적,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손상을 일으킨다.
04. 증상은 남용 약물, 치료 약물과 같은 물질에 대한 직접적 생리적 효과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때문이 아니어야 한다.
05. 증상은 사랑하는 사람의 사별로 더 잘 설명되어지지 않는다. 즉, 사랑하는 이를 잃고 나서 증상은 2개월 이상 지속되며, 현저한 기능적 손상, 무가치감에 병적 집착, 자살 의도, 정신병적 증상, 또는 정신운동 지연의 특징이 있다.
우울증의 치료법
한약으로 치료되는 마음의 병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증, 조증, 조울증, 정신분열증 등의 마음 질환을 치료하는 것은 환자의 몸을 관찰함과 동시에 환자가 살아온 삶을 읽고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모든 육체적, 정신적 변화에는 발생한 시점, 혹은 잠재적으로 누적되어 온 환경이 존재합니다.
노영범 부천한의원은 개개인의 삶을 정밀하게 추적하여 문제의 원인을 밝히고 몸과 마음의 병든 부분을 정상으로 되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상한론(傷寒論)에 기술된 대표적인 우울증
상한론(傷寒論, 고대자연치유의학)은 한의학의 원류(原流)이자 최고의 처방의서(處方醫書)입니다.
- 心中懊惱(심중오뇌)
- 가슴 속에 응어리가 쌓여 괴로운 것을 표현한 한의학 용어입니다. 주로 할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속으로 참고 끙끙 앓게 될 때 발생하기 때문에‘한(恨)’‘화병’의 개념과 연관됩니다.
‘虛煩不得眠’이라는 표현과 함께 사용될 경우에는 우울증에 동반되는 불면을 표하기도 합니다.
- 胸滿(흉만)
- 가슴이 답답하여 한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 心煩(심번)
- 가슴으로 화내는 모습입니다.
- 脈沈(맥침)
- 전체적인 기세가 차분하고 침착해 보이며, 기분 등이 가라앉아 침울해 보이는 모습입니다.